인기 글
-
잡식
일본의 크레파스 그림체 일러스트 "일러스트야"
"일본의 괴랄한 사건 혹은 괴랄한 문화를 다루는 짤/영상을 보면 꼭- 이 크레파스 그림체의 일러스트가 쓰이는데 이 그림의 출처는 어디인가요?" 라는 질문을 가까운 친일파(?) 분들에게 물어봤는데 잘 모르더라. "그냥 일본에서 오랫동안 쓰이던 그림이에요" 라기엔, 코로나/백신패스포트/NFT/에어태그 같은 최신 이슈도 즉각 즉각 반영한 소재가 나오다보니 어디 신문사 삽화 그림체인가 싶어서 계속 궁금했는데, 검색에 검색을 거쳐 찾게됨. - 미후네타카시라는 일본의 디자이너가 2012년 "일러스트야" https://www.irasutoya.com/ 라는 이름의 일러스트 배포 플랫폼을 만듦. - 일러스트야에서 배포하는 일러스트는 개인/기업 모두 출처 표기할 필요 없이 20매까지 자유롭게 활용 가능. (21매 이상은..
-
IT
대리운전이 만든 3.5차 산업 혁명 카페 '바나프레소'
저성장 시대로 접어들면서 ‘초저가 아메리카노’를 내세우는 테이크 아웃 커피점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대다수의 저가 테이크 아웃 커피점이 소규모 점포의 낮은 임대료와 키오스크를 활용한 인건비 절감을 바탕으로 박리다매를 실현해 내고 있다면, 유독 특이한 전략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커피 전문점이 있다. 바로 바나프레소. 바나프레소에서 판매하는 톨 사이즈 아메리카노가 1,500원이라는 점에서 언뜻 보면 다른 저가 테이크 아웃 커피점과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하나하나 훑어보면 바나프레소는 달라도 한참 다르다. 매장 내의 모든 반복 작업은 IT 기술로 자동화 달라도 한참 다른 바나프레소의 서비스를 체험하기 위해 우선 주문을 해보자. 바나프레소에서의 메뉴 주문은 키오스크와 앱으로..
최신 글
-
일본의 크레파스 그림체 일러스트 "일러스트야"
"일본의 괴랄한 사건 혹은 괴랄한 문화를 다루는 짤/영상을 보면 꼭- 이 크레파스 그림체의 일러스트가 쓰이는데 이 그림의 출처는 어디인가요?" 라는 질문을 가까운 친일파(?) 분들에게 물어봤는데 잘 모르더라. "그냥 일본에서 오랫동안 쓰이던 그림이에요" 라기엔, 코로나/백신패스포트/NFT/에어태그 같은 최신 이슈도 즉각 즉각 반영한 소재가 나오다보니 어디 신문사 삽화 그림체인가 싶어서 계속 궁금했는데, 검색에 검색을 거쳐 찾게됨. - 미후네타카시라는 일본의 디자이너가 2012년 "일러스트야" https://www.irasutoya.com/ 라는 이름의 일러스트 배포 플랫폼을 만듦. - 일러스트야에서 배포하는 일러스트는 개인/기업 모두 출처 표기할 필요 없이 20매까지 자유롭게 활용 가능. (21매 이상은..
2022.05.16 21:18 -
"원천징수"는 히틀러가 보급한 제도다
오늘 알게된 재미있는 사실 : "원천징수"는 히틀러가 보급한 제도다 "이렇게 자신은 탈세를 일삼으면서도 국민의 주머니는 철저히 털었다. 이를 위해 그는 원천징수제도를 도입했다. 종전에는 1년에 1회 세금을 부과하던 것을 12회로 나누어 매달 급여에서 원천징수하도록 한 것이다. 세무 당국의 입장에서는 세금 징수가 편리해졌다. 직장인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회사가 먼저 세금을 떼서 납부하니, 조세저항도 적었다. 나치독일의 동맹국이던 일본도 1941년에 이 제도를 도입했다. 일제(日帝)가 남겨준 많은 행정시스템과 함께 원천징수제도도 해방 후 대한민국으로 승계됐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봉급쟁이들이 ‘유리지갑’ 신세를 한탄하게 만든 것은 히틀러인 셈이다. 역사 속 세금, 세금 속 역사 “한 나라가 끝나고 다음 ..
2022.02.01 23:33 -
MZ세대에게 "플레이어"는 동영상 플레이어일까? 게임 플레이어일까?
쇼케 컨셉도 아예 배틀로얄로 잡앗나부다 플레이어 화면으로 입장한다는 말 뜨네 pic.twitter.com/THkWOhDXik — 언솝 (@unsoberup) October 27, 2021 NC 유니버스에서 진행하는 더보이즈 컴백 쇼케이스 소개 페이지에 "공연 시작 1시간 전부터 플레이어 화면으로 입장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있었다. 꽤 많은 더보이즈 팬들이 "플레이어? 입장? 대박! 온라인 쇼케이스를 게임 같은 컨셉으로 진행하나봐"하고 기대를 품었다고 하는데, 저 문구 속 '플레이어'는 단순 '동영상 플레이어'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모바일 네이티브 세대의 문해력이 여러모로 논란이 되기도 했었으니 그런 류의 문제군..하고 넘어가려다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애초에 모바일로 인터넷 세계를 접하기 시작한 ..
2021.10.28 23:31 -
워드프레스 리다이렉트 플러그인 추천
티스토리나 워드프레스를 제휴마케팅용 랜딩이나 마케팅 랜딩 페이지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티스토리의 경우엔 무지 테마에 CMS 개념으로 에디터를 활용해 자유롭게 제작/수정하는 형태가 많이 보이고, 워드프레스의 경우에는 elementor와 같은 페이지 빌더를 활용해 빠르게 랜딩 페이지를 제작한다. (워드프레스를 어느 정도 만질 줄 아는 마케터가 있다면) 개발자의 서포트 없이 티스토리 보다 더 높은 표현력을 가진 웹페이지 랜딩 생성과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카롱같은 경우엔 티스토리를 인앱 콘텐츠나 마케팅 랜딩을 무지 테마인 티스토리 페이지에 올려 이용 중이고, 모바일 한정 여타 그로스 솔루션들을 붙여 빠르게 + 유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PC에서는 일반 랜딩 페이지의 형태로 보인다) 요런 형태로 ..
2021.10.09 23:43 -
스포티파이, 몽키3, 그리고 왓챠 뮤직
왓챠가 만드는 음원서비스는 어떤 모습일까. 왓챠 뮤직 희망편 : 한국의 스포티파이 왓챠 뮤직 절망편 : 잘 만든 몽키3 정도로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재밌는 걸 발견했다. 어제 왓챠가 자회사 더블유피어를 설립하면서 음원 유통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고,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는 검토 중이라고 선을 그었다. 공식 웹사이트에 밝힌 내용들을 보면 저작권자들 입장에서는 한참 부족한 어필 포인트들이고 하나 같이 아쉽다. 묘하게 "스트리밍 서비스가 나와도 '잘 만든 몽키3'를 넘어서지 못할 것 같다"는 불길한 예감이 들었는데... - 이미 왓챠(더블유피어)는 음원 서비스 몽키3(모모플)를 2월에 인수했고 - 해당 서비스는 왓챠(더블유피어)에서 운영 중 이다 왓챠가 PR 채널을 통해서 밝힌 정보와는 다른 사실이다. ..
2020.05.15 18:56